실시간 뉴스



원전 일부 사용후 핵연료 포화율 90% "꽉 찼다"


월성 1~4호기 당장 2019년 포화…정부 관리방안은 '감감'

[아이뉴스24 조석근 기자] 국내 원전들이 보관 중인 사용후 핵연료가 일부 원전의 경우 저장용량의 9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월성 1~4호기의 경우 당장 2019년이면 저장시설이 포화 상태에 도달할 전망이다.

국내 원전 운영사 한국수력원자력에 따르면 사용후 핵연료 저장시설의 90% 이상이 포화된 원전은 고리 3호기, 고리 4호기, 한울 1호기, 한울 2호기다. 고리 3호기의 경우 저장용량 2천103다발 가운데 1천915다발이 찬 상태로 포화율은 91.1%다.

고리 4호기는 저장용량 2천105다발 중 1천997다발로 포화율 94.9%이다. 한울 1호기와 한울 2호기가 각각 957다발 중 936다발(97.8%), 905다발 중 819다발(90.5%)이 찬 상태다. 설계수명 만료 이후 영구정지된 고리1호기의 경우 사용후 핵연료 저장용량의 86.3%가 포화됐다.

국내 원전 가운데 가장 먼저 포화가 예상되는 곳은 월성 1~4호기다. 원전별 포화율은 66~81%인데 반해 이들의 사용후 핵연료를 보관하는 건식저장시설 포화율이 95%로 포화 시점은 2019년으로 전망된다. 당장 내년이다.

사용후 핵연료란 원전 가동에 이용된 후 원자로에서 꺼낸 원료물질과 부산물을 말한다. 방사선의 세기가 매우 강한 대표적인 고준위 방폐물이다. 독성이 강한 데다 종류에 따라 자연상태 수준의 방사선량을 지닐 때까지 10만년 이상 소요된다. 그 때문에 보관이 매우 까다롭다.

사용후 핵연료는 재처리를 거치면 95% 이상 재활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부산물 가운데 플루토늄처럼 핵무기 원료물질이 섞여 있어서 국제협약상 몇몇 핵 국가를 제외하면 재처리가 불가능하다.

사용후 핵연료는 원칙적으로 500m 이하 지하에 장기간 보관해야 하지만 국내에선 이를 처리할 별도의 고준위 방폐장이 없는 상황이다. 원전 근무자들이 사용한 소모품과 원전 부품 등 중저준위 방폐장이 2015년부터 경주에서 운영 중이다.

그 때문에 사용후 핵연료는 원전에서 임시로 자체 보관하고 있다. 원전에서 꺼낸 섭씨 수백도의 핵연료가 식을 때까지 5년 이상 수조에서 보관한 이후 특수용기에 담아 건식저장고로 보내는 방식이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고리 1~4호기가 2024년, 한빛 1~6호기가 2037년, 신월성 1~2호기가 2038년 포화시점을 맞이할 전망이다.

정부는 2016년 공론화위원회를 운영, 권고안을 제출받아 '고준위방폐물 관리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사용후 핵연료 처리 및 폐기를 위한 지하연구시설, 중간저장시설, 영구처분시설을 동일 부지에 단계적으로 추진한다는 내용이다.

다만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전망이다. 기본계획을 따르더라도 부지 선정에만 최소 12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지질적 여건을 감안 적합지역을 선정해야 하지만, 무엇보다 여론이 문제다.

중저준위 방폐장만 해도 1990년 충남 태안을 시작으로 10차례 부지 선정이 이뤄졌다. 2005년 경주가 최종 대상지로 선정되기까지 경주민들의 격렬한 반발로 번번이 무산됐다.

현 정부는 고준위방폐물 관리 기본계획에 대한 재검토에 들어간 상황이다. 지난 5월 산자부가 이를 위한 고준위방폐물 관리정책 재검토준비단을 출범시켜 실무작업을 진행 중이다. 사용후 핵연료 관리의 시급성을 감안하면 정부가 정책 혼선을 부추기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나온다.

산업부 관계자는 "정부의 에너지전환(탈원전) 기조에 따른 변화를 감안해 사용후 핵연료 포화연도, 중간규모, 지역지원 방안 등을 재점검할 필요가 생긴 것"이라며 "기본계획의 틀 자체는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석근기자 mysun@inews24.com

2024 iFORUM






alert

댓글 쓰기 제목 원전 일부 사용후 핵연료 포화율 90% "꽉 찼다"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