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5G 상용화 1주년, 민간의 힘 컸다…정부, 5G+전략 가속화


과기정통부, 추진성과 돌아보며, 5G+ 전략 가속화 약속

[아이뉴스24 김문기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세계 최초 5G 상용화 1년을 맞이해 세계 최고를 위한 노력을 경주하겠다고 선언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는 2일 지난해 4월 3일 세계 최초 5세대 이동통신(5G) 상용화 1년의 추진성과를 돌아보며, '상상이 현실이 되는' 5G 시대를 앞당기기 위해 5G+ 전략을 속도감 있게 추진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인포그래픽=아이뉴스24]
[인포그래픽=아이뉴스24]

정부는 지난 2017년말 초연결 지능형 네트워크 전략을 선제적으로 마련·제시하고, 2018 평창동계올림픽에서 세계 최초로 5G 시범서비스를 선보였다.

이후, 5G 인프라 조기 구축을 위해 2018년 6월 주파수 경매를 계획 대비 1년 앞당겨 실시하고, 통신사들의 중복투자를 줄이기 위해 필수설비 공동구축·활용 관련 제도를 개선했다.

5G 단말기 도입과 무선망 구축에 필요한 전파인증 및 무선국 허가·검사를 위한 무선설비 기술기준을 마련하고,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에 5G 체험관을 운영했다. 5G 장비·단말에 대한 전파 인증을 진행했다.

지난 2018년 12월 1일 세계 최초로 5G 전파를 발사하고, 모바일 라우터 기반 B2B 상용서비스를 개시한 이후, 미국과의 치열한 경쟁 끝에 2019년 4월 3일 세계 최초로 스마트폰 기반 5G 서비스를 상용화했다.

 [자료=과기정통부]
[자료=과기정통부]

◆ 삼성전자, 스마트폰 1위·통신장비 3위…이통3사, 500만 가입자 돌파

5G 성과는 대기업의 시장 선도에 따른 하방 산업 활성화로 이뤄졌다.

시장조사업체 IHS에 따르면 지난해 5G 장비 시장에서 삼성전자가 23.33%로, 1위인 화웨이 26.18%, 2위인 에릭슨 23.41%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 오는 2026년 세계 시장 점유율 20% 달성을 초기 달성한 것이라 과기정통부는 자평했다.

지난해 4월 3일 세계 최초 5G 스마트폰을 출시한 삼성전자는 폴더블 스마트폰과 5G 태블릿 등을 출시하며 글로벌 1위 자리를 수성하고 있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43%의 점유율로 왕좌에 군림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우리 기업이 세계 최초로 5G 단말을 출시,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5G 장비도 세계시장 3위로 기존 견고했던 통신장비 3강인 화웨이-에릭슨-노키아 구도에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통3사는 코로나19 확산으로 매장가입 고객이 저조한 상황에서도 상용화 약 10개월 만에 5G 가입자가 500만명을 돌파했다. 5G 기지국은 전국 85개시에서 약 10만9천국을 구축했다.

5G 상용화로 통신사들의 망 투자 확대 등에 따라 중소 기업들의 매출과 영업이익이 증가하고 있다.

5G 기지국 장비 제조업체 A는 꾸준한 5G R&D, 삼성전자, 노키아 등 글로벌 업체와 협력 등을 통해 다중입출력장치(매시브 MIMO)를 개발해, 2018년 대비 지난해 247% 증가한 7천330억원의 매출을, 같은기간 영업이익은 1천613억원으로 흑자전환했다.

광송수신기 제조업체 B는 삼성전자, 화웨이, 에릭슨 등 글로벌 업체들에 5G 장비를 공급해 지난해 매출은 2018년 대비 258% 증가한 2천105억원, 영업이익은 294% 증가한 588억원으로 성과를 나타냈다.

3D VR 콘텐츠 스타트업 C는 통신사와 함께 해외에 진출하는 등 5G 상용화로 지난해 매출이 2018년 대비 178% 증가한 50억원을 기록했다.

또한, 독일 도이치텔레콤 등과의 국제협력과, 일본 KDDI와 캐나다 비디오트론, 미국 US셀룰러, 뉴질랜드 등 장비 공급, 중국 차이나텔레콤과 홍콩텔레콤의 콘텐츠 수출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세계 최초 5G 상용화를 배우기 위해 각 국 정부·통신사에서 우리나라를 방문했다. 지난해 5월 열린 아태지역 5G 최고경영자 회의, 지난해말 열린 5G 버티컬 서밋 2019 등을 개최해 5G 경험을 전세계에 공유하기도 했다.

 [자료=과기정통부]
[자료=과기정통부]

◆ 5G+ 전략 수립 이행...꼼꼼한 실행력 담보돼야

정부의 5G 활성화 대책은 지난해 4월 8일 문재인 대통령 참석하에 '코리안 5G 테크-콘서트'로 명명된 상용화 기념행사를 개최하면서부터 본격화됐다. 이 자리에서 세계 최고 5G 생태계 조성을 위한 '5G+ 전략'이 발표됐다.

이후, 5G+ 전략의 범국가적인 추진을 위해 관계부처와 민간 업계‧전문가가 참여하는 '5G+ 전략위원회'를 구성해 운영 중이다.

지난해 9월 15대 5G+ 전략산업의 체계적 육성을 위해 콘텐츠산업 3대 혁신전략, 같은해 10월 5G+ 핵심서비스 융합보안 강화방안과 5G 기반 스마트공장 고도화 전략, 연말에는 5G+ 스펙트럼 플랜 등 10여개의 후속정책을 범부처적으로 수립해 추진 중에 있다.

정부 지원 사업으로는 5G 상용화 직후부터 추경으로 약 230억원을 편성하는 등 3천400여억원을 투입하여 5G 산업 육성을 위해 지원하였으며, 올해는 87% 증가한 6천5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국내 5G 단말기 제조기업이 해외에 나가지 않고도 국제인증을 획득하여 단말기 개발기간을 단축하고, 인증비용을 줄일 수 있는 국제공인 인증시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융합보안핵심인재 양성을 위해 5G+ 5대 핵심서비스 분야 등을 중심으로 융합보안 대학원 3개교를 선정했다. 고려대(스마트공장), 한국과학기술원(스마트시티), 전남대(에너지)다.

5G 콘텐츠 플래그십 사업을 통해 실감콘텐츠 5대 분야 선도과제 28개 제작 지원했다. 초기기업 성장지원을 위한 펀드 300억원을 조성하고, 해외에 5G 콘텐츠 공급을 위해 미국(LA), 베트남(호치민) 등에 5G 콘텐츠 체험관을 구축했다.

상업용 5G 단말 시제품을 개발, 5G 스마트공장을 중소기업 3곳에 보급했다. 서울 상암에 차량전용통신(WAVE)․5G 통신 인프라를 구축․개방해 민간의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C-ITS) 및 자율협력주행 기술개발을 지원하였으며, 판교에서 자율주행셔틀을 시범운영했다.

한편, 정부는 민간의 5G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2년간 5G 망 투자 세액공제를 추진 중이다. 올해부터는 세액공제율을 확대한다.

무인기지국 원격전원관리시스템에 대한 ICT 규제샌드박스를 지정했다. 2026년까지 5G 주파수를 약 2배 확대하는 '5G+ 스펙트럼 플랜'을 추진 중이다.

정부는 세계 최초 5G 상용화 1년간 성과를 되돌아보고, 5G+ 전략의 올해 추진계획 점검과 성과 창출을 가속화하기 위해 오는 8일 제3차 5G+ 전략위원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김문기 기자 moon@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5G 상용화 1주년, 민간의 힘 컸다…정부, 5G+전략 가속화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